Accidental gap 空白語彙 공백어휘
200 x 20x 20 cm, Wood , Aluminium, Stepper-Motor with Three wave length lamps, Dimension variable, 2016
공백어휘는 ‘2차 세계 대전 이후 이주 여성들’ 중 역사의 축에 가려져 수동적인 형태로 국경을 넘어야 했던 여성들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여성들은 다양한 이름으로 범주화 되고 있는데, 어떤 여성들은 구 일본군 위안부였고, 나의 일본인 친할머니의 경우처럼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해방되기 직전에 일본에 파견된 한국인 노동자와 결혼한 사람도 있었으며, 비무장지대(DMZ)에 위치한 선전 마을 ‘양지리’ 로 이주한 할머니들도 있다. 작가는 이들에 대해 지배적인 정체성이 지닌 힘에 호소하는 어떤 형태로부터 거리를 두기 원하는 동시에, 희생자’ 라는 집단 정체성을 부여하는 것도 거부하며, 모터 조명구조를 통해 밝혀지는 양가적 의미의 Victim을 위한 방을 구성하였다.
이 여성들은 다양한 이름으로 범주화 되고 있는데, 어떤 여성들은 구 일본군 위안부였고, 나의 일본인 친할머니의 경우처럼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해방되기 직전에 일본에 파견된 한국인 노동자와 결혼한 사람도 있었으며, 비무장지대(DMZ)에 위치한 선전 마을 ‘양지리’ 로 이주한 할머니들도 있다. 작가는 이들에 대해 지배적인 정체성이 지닌 힘에 호소하는 어떤 형태로부터 거리를 두기 원하는 동시에, 희생자’ 라는 집단 정체성을 부여하는 것도 거부하며, 모터 조명구조를 통해 밝혀지는 양가적 의미의 Victim을 위한 방을 구성하였다.





